바보 온달과 평강공주에 대한 설화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정도로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이 둘의 이야기는 설화가 아닌 실존인물들의 생애를 각색한 것입니다. 우리가 익히 아는 삼국사기라는 역사책에서 실존인물로 등장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온달과 평강공주의 생애와 이야기에 대해서 삼국사기를 토대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 이야기
평강공주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25대 평원왕의 첫째 공주로 태어났습니다. 공주가 어릴 때에는 여린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지 툭하면 자주 울었습니다. 그때마다 평원왕은 첫째 공주의 울음을 그치게 하기 위해서 자꾸 울면 바보 온달에게 시집을 보낸다고 희롱을 하였습니다.
온달은 당시 고구려에서 소문난 바보였습니다. 집이 가난하여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밥을 구걸을 하러 다녔는데 용모가 못생기고, 허름고 찢어진 옷차림으로 헤실헤실 웃으며 구걸을 한다 하여 바보 온달이라고 불렸습니다. 이런 바보 온달에 대한 소문은 궁궐에도 전해져서 왕은 평강 공주가 울 때마다 시집을 보내겠다고 놀렸던 것입니다.
세월이 흘러 평강 공주가 16세가 되어 혼인을 할 때가 되었습니다. 아버지였던 평원왕은 딸인 평강공주를 명문귀족 집안에 시집을 보내려 했습니다. 그런데 평강 공주는 어렸을 때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는 말을 진실을 믿고, 온달에게 시집을 가겠다고 고집을 부리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화가 난 평원왕에 의해 공주는 궁궐에서 쫓게 나게 됩니다. 공주는 곧장 온달의 집을 찾아가 그와 혼인을 하게 됩니다.
그녀는 궁궐에서 가지온 온 패물을 팔아 논밭과 집, 노비 등을 사서 눈 먼 시어미니를 잘 봉양하고, 바보 온달에게 무예와 학식을 가르칩니다. 온달은 생각과는 달리 총명하여 이러한 무예와 학식을 빠르게 흡수하기 시작합니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공주의 도움과 가르침을 받은 온달은 뛰어난 무예와 학식을 지닌 무장으로 성장합니다.
당시 고구려에는 매년 3월 3일날 낙랑 언덕에서 사냥대회를 개최했습니다. 그리고 그날 잡은 짐승들을 하늘과 산천 신에게 제사로 바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행사였습니다. 온달은 공주의 조언으로 이 대회에 참가하기로 합니다. 이 대회에 참가하려면 말이 필요했습니다. 평강 공주는 온달에게 시장에서 말을 사지 말고, 반드시 나라의 말 중에서 병들고 쇠약해 내놓은 말을 사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말을 부지런히 먹이고 관리하여 건장하게 만들었습니다.
사냥대회에 참가한 온달은 이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됩니다. 그동안 훌륭하게 관리된 말을 타고 사방으로 날뛰는 짐승들을 쫓아 많은 성과를 거두게 됩니다. 이 때 왕의 눈에 들게 된 온달은 고구려의 장수로 발탁되게 되었습니다. 그 뒤 중국 북주의 군대가 침공해왔을 때, 평원왕과 함께 전장에 나서게 됩니다. 온달은 이 전장에서 선봉장이 되어 수십 명의 적을 베고 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됩니다. 이에 왕은 크게 기뻐하며 온달에 작위를 주며, 자신의 사위로 인정하게 됩니다.
세월 흘러 평원왕이 죽게 되어 그 뒤를 계승하여 온달은 590년 왕위에 올라 영양왕이 됩니다. 이후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유역을 되찾기 위해 직접 군대를 이 끌로 신라로 쳐들어갑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아단성(아차산성) 아래서 싸우다 신라군이 쏜 화살에 맞아 죽게 됩니다. 이후에 죽은 온달을 넣은 관을 운반하려 했지만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이때 평강 공주가 달려와 관을 어루만지며 돌아가자고 말하니, 비로소 관이 움직였다고 합니다. 아름답고도 슬픈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 온달은 어떤 인물이었을까?
사실 온달전의 내용은 설화적인 측면이 많습니다. 물론 완전한 허구는 아니고 어느 정도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하여 만들어진 설화일 것입니다. 그 당시 시대상으로 보면 온달이 완전히 출신이 미천한 바보였다고 여기기는 어렵습니다. 당시를 추론해보면 평원왕 재위 당시 나라 안팎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습니다. 나라 밖으로는 중국 수나라와 돌궐 그리고 신라의 견제를 받았고, 나라 안으로는 기존 귀족 세력들의 세력 다툼이 잦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평원왕은 나라를 안정시키고 국력을 기르기 위해 왕권강화가 절실했습니다. 따라서 온달은 당시 고위 귀족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세력을 갖춘 신흥 하급 귀족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하급 귀족의 무사로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인해 평원왕의 눈에 들었고, 그를 발탁하여 공주의 아내로 삼음으로써 기존의 고위 귀족들을 견제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이야기는 이랬을 것입니다. 원래 평원왕은 공주와 온달을 결혼시키려 했으나 당시 신분제도와 관행에 비추어 어려움이 따랐고, 더욱이 귀족들의 반발로 인해 왕이 취소까지 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평강 공주가 약속을 지킬 것을 고집하여 온달에게 시집간 것으로 추측됩니다.
어찌 보면 파격적인 그 당시의 신분을 초월한 결혼은 기존 귀족 집안에게는 야유와 시기의 대상이 되었고, 바보 온달이라는 설화로 발전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평강 공주는 당시 폐쇄적인 귀족 신분 사회에서 주체적인 행보를 보인 현명하고 열정이 넘치는 여인이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