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지식 탐구에서의 오류

by ĸij⍵⌹⍗⍣⌨ 2021. 4. 3.

과학적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 있습니다. 사실 과학적 탐구는 원인과 결과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과정이 올바르지 못하면 우리는 정확한 원인과 결과, 즉 과학적 지식을 찾아낼 수 없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정확한 관찰

말 그대로 정확한 관찰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항상 타고 다니던 지하철에서 손잡이의 색을 알아맞힌다고 생각해봅시다. 평소에는 의식하지 않았던 부분이기 때문에 어떤 색인지 불명확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의식적으로 손잡이의 색을 관찰하려고 하면 확실히 정확하게 색을 맞출 수 있을 것입니다. 의식적으로 색을 알아내기 위해 사진을 찍기도 하고 기록을 할 것입니다. 이것이 부정확한 관찰에서 정확한 관찰로 가기 위한 방법입니다. 

 

2. 과도한 일반화

과도한 일반화는 말그대로 과도하게 일반적인 사실을 생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는 종종 몇 가지 사실만으로 그것이 마치 일반적인 사실인 것처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당신과의 약속에 늦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사실을 두고 당신은 A를 약속에 매번 늦는 불성실한 사람으로 판단해버립니다. 즉, A는 불성실한 사람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누군가는 하필 그날따라 교통사고가 나서 사건을 처리하느라 늦었던 것이었습니다. 이는 명백한 과학적 지식 탐구의 오류입니다. 이렇게 한 두 가지의 사실만을 놓고 그 전부를 판단해버리는 것이 과도한 일반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선별적 관찰

앞서 말한 과도한 일반화는 선별적 관찰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선별적인 관찰이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부분만 관찰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을 관찰할 때 당신은 그의 불성실만 면만 관찰합니다. 따라서 A가 약속에 늦더라도 단순히 불성실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결론을 내버립니다. 그러나 이는 교통사고라는 하나의 사실을 배제한 판단입니다. 이처럼 A의 속성을 불성실이라는 단어로 만들어버리면 선별적인 관찰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과학적 관찰에서는 이를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4. 꾸며진 정보

이것은 윤리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거짓된 사실을 마치 그럴 듯 하게 과학적 지식으로 비롯된 것처럼 꾸며내는 것을 말합니다. 역시 같은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당신이 A라는 사람이 불성실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계속해서 거짓되게 주장하기 위하여 A가 약속에 늦었기 때문에 불성실하다고 강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교통사고가 난 사실은 숨기게 됩니다. 

 

5. 사후 발생적 가설

사후 발생적 가설은 이미 벌어진 결과를 가지고 추론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성적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런데 실제로 이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보니 학생들이 오히려 성적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우리는 이 결과를 가지고 이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었다면 더 성적이 낮아졌을 거라고 해석하고 이 교육 프로그램 덕분에 이 정도만 떨어진 거라고 끼워 맞추기 식 사후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것 또한 제대로 된 과학적 지식 탐구 방법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비논리적 추론

이것은 일명 무논리를 말합니다. 말그대로 논리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신념을 가지고 모순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모순된 자기 행동을 부정하기 위해 비논리를 옹호하는 것을 말하며, 도박꾼의 오류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사물의 현상을 탐구할 때 아무런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7. 이해에 자아가 개입됨

이것은 어떤 원인이나 결과를 탐색할 때 객관적인 관찰이 아닌 자신의 자아가 개입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시험 성적이 나빠진 학생이 그동안의 자신이 공부를 하지않고, 게임이나 놀이에 집중했던 경험을 반성하지 않고 시험 난이도나 시험 고사장 시설의 문제점으로 성적 하락의 원인을 돌리는 것을 말합니다. 

 

8. 탐구의 성급한 종료

충분한 시간을 두고 객관적으로 관찰하지 않고, 빠르게 결론을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사회과학에서는 어떠한 현상의 원인이 다양하고 변수가 많기 때문에 그 경향성의 원인을 명확하게 밝히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패널조사와 같이 비슷한 집단을 여러 해에 걸쳐서 과학적 탐구를 하기도 합니다. 물론 완벽한 과학적 지식은 없지만 너무 쉽게 도출된 결과는 오래가지 못하고 반박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9. 신비화

신비화는 어떤 현상을 초자연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궁극적으로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보면 똑같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어떤 학생들은 성적이 높아졌으나 어떤 학생은 높아지지 않았을 때 이것의 원인을 어떤 신비로운 에너지의 작용으로 받아들이는 행위를 말합니다. 과학적 사고방식에서는 인간을 다루는 사회과학이라도 어떠한 원인과 결과가 분명하게 작용하고 다양한 변수가 있으므로 이를 찾아내는 노력을 계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이것이 지금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해서 신비스러운 영역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류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과학적 지식 탐구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는 과학적인 사고를 통해 어떠한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밝힐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위의 살펴본 오류를 항상 염두에 두고 우리 자신을 돌아보면서 과학적 탐구를 지속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