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택청약 당첨자 선정 기준

by ĸij⍵⌹⍗⍣⌨ 2021. 4. 5.

내 집 마련을 위해 우리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가입하여 매달 납입금을 넣습니다. 그런데 실제 주택 청약에서 어떤 기준을 가진 사람이 당첨되는 게 유리한지 잘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택청약 당첨 기준은 크게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으로 나뉩니다. 따라서 둘 사이에는 당첨을 유리하게 하기 위한 조건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주택청약이 당첨되는지에 대한 공공주택과 민영주택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민영주택(민간 아파트)

민영주택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민간 건설사의 아파트를 말합니다. 자이,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등을 말합니다. 이러한 아파트에 청약이 당첨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선정 기준을 최소한 만족해야 합니다.

1) 청약순위가 높을 것

청약 순위는 1순위와 2순위가 있습니다. 이 순위에 따라 1순위 입주자를 먼저 선발하고 미달 시에만 2순위 입주자를 선정합니다. 여기서 2순위의 경우 추첨 방식으로 입주자를 선정합니다. 

2) 가산점(가점)이 높을 것(특정 조건이 붙었을 경우)

특정 조건이 붙을 경우에 민영주택은 기본적으로 가점제와 추첨제를 병행하여 기준을 세웁니다. 주거전용면적에 따라 가점제와 추첨제의 비율 다르게 계산하고 그 외에도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표를 보시고 이해해보시면 쉽습니다. 

※ 주의!! 1순위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많을 경우입니다. 2순위는 무조건 1순위 뒤에 추첨에 의해서만 당첨됩니다. 결과적으로 1순위에서 모두 청약 당첨자가 나온다면 2순위는 기회가 없습니다.

주거전용면적 투기과열지구 청약과열지역 수도권 내 공공주택지구 85㎡ 초과 공공건설임대주택 그 외 주택
85m² 이하

가점제 : 100%
추첨제 : 0%

가점제 : 75%
추첨제 : 25%

가점제 : 100%
추첨제 : 0%

-

가점제 : 40(~0%)
(시장 등이 40%이하로 조정 가능)
추첨제 : 60~100%

85m² 초과

가점제 : 50%
추첨제 : 50%

가점제 : 30%
추첨제 : 70%

가점제 : 50(~0%)
(시장 등이 50% 이하로 조정 가능)
추첨제 : 50~100%

가점제 : 100%
추첨제 : 0%

가점제 : 0%
추첨제 : 100%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청약 순위가 1위인 우리가 주거전용면적 85m² 이하이면서 청약과열지역에 있는 아파트를 사려고 한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아파트의 총세대수는 100세대라고 합시다. 그러면 위의 표에 따르면 가점제 75%, 추첨제 25%이므로 총 100세대 중 75세대는 가산점이 높은 75가구가 당첨이 되어 가져 갑니다. 그러고 나머지 아파트 25세대는 가점(가산점)과 상관없이 오로지 추첨을 통해 당첨이 되게 됩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그렇다면 이제 궁금한 것이 하나 생깁니다. 도대체 가점은 어떻게 알고 계산을 할까?

그 기준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먼저 무주택기간이 길어야 합니다. 둘째로 부양가족 수가 많아야 합니다. 끝으로 입주자 저축 가입기간이 길어야 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주택청약 가점 기준

우리는 위의 표를 통해 가점항목이 총 3가지이며, 만점 기준 총점이 84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1순위 가구 안에서도 가점으로 당첨 순위가 나뉩니다. 

자신의 가점이 어느정도 인지 궁금하시다면 ☞주택청약가점계산기 바로가기로 들어가셔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2. 국민주택(LH 아파트)

국민주택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LH가 건설한 아파트를 말합니다. 이외에도 정부가 직접 관여하여 지은 아파트들이 해당합니다. 국민주택의 청약 당첨 기준은 순위 순차제입니다. 이 말의 뜻은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차례대로 당첨된다는 의미입니다. 다음 기준을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청약 순위가 높을 것

국민주택과 민영주택과 마찬가지로 청약순위가 1순위이어야 합니다. 2순위의 경우는 1순위 미달 시에만 추첨으로 입주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2) 1순위 중에서 무주택자이거나 저축총액과 납입 횟수가 많을 것

이 기준은 아파트 면적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며 자세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순차 40m² 초과 40m² 이하
1 3년 이상의 기간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저축총액이 많은 자
3년 이상의 기간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납입횟수가 많은 자
2 저축총액이 많은 자 납입횟수가 많은 자 

지금까지 주택청약의 당첨기준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 포스팅을 처음 보신 분이라면 주택 청약 1순위의 기준을 궁금해하실 것입니다. 해당 기준은 제가 지난 포스팅에서 알기 쉽게 다뤘으니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에 대한 간단 정리◁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에 대한 간단 정리

흔히 주택청약에 대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겁니다. 이 제도에 대해 잘 모르더라도 일단 내 집 마련을 위해서 가입부터 하고 보는 게 이득이다라고 이야기들을 합니다. 이 포스팅은 주택

ocir.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