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지조사론 연구목적에 따른 조사연구 유형

by ĸij⍵⌹⍗⍣⌨ 2021. 4. 7.

사회복지조사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연구목적에 따른 유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일을 계획할 때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계획합니다. 사회복지조사도 마찬가지로 연구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사회복지조사의 유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탐색적(exploratory) 연구

탐색적 연구란 말 그대로 탐색해보는 것입니다. 권투시합을 예로 들어봅시다. 경기가 시작되면 양 선수는 우선 탐색전부터 펼칩니다. 상대방의 힘과 기술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고 전략을 세우기 위함입니다. 사회복지조사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잘 알려지지 않은 분야나 사전 지식이 부족한 연구 문제를 연구하려 할 때는 우선 탐색부터 해봐야 합니다.

이 탐색적 조사의 목적은 우선 연구 문제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하고, 앞으로 어떻게 조사를 수행할 지에 대한 전략(또는 가설)을 세우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비조사, 형성적 조사, 파일럿 조사라고도 합니다.

탐색적 조사연구의 방법으로는 해당 연구 문제를 다룬 문헌을 통해 조사하는 문헌조사, 해당 문제의 경험자나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경험자(전문가) 조사, 특수한 사례를 연구하는 특례 조사 등이 있습니다. 

 

기술적(descriptive) 연구

기술적 연구에서 기술이란 단어는 어떤 의미일까요? 여기서 기술의 의미는 사전적으로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을 있는 그대로 열거하거나 기록하여 서술하다'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기술적 연구는 연구자가 관심 있는 어떤 사회현상, 배경, 분포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술적 연구의 특징은 현상이 발생한 빈도와 비율을 파악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가 서울시의 40대 남성을 대상으로 '소득'이라는 변수와 '삶의 만족도'라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고 합시다. 먼저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40대 남성의 소득과 삶의 만족도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웁니다. 다음으로, 실제 서울시에 사는 40대 남성 1000명가량을 뽑아서 소득과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대로 열거하여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어떤 원인과 결과를 예측하려 하지 않고 단순히 기술만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조사 결과에서 우리는 상관관계는 알아볼 수 있습니다. '소득'과 '삶의 만족도'를 쭉 나열한 결과 어떤 경향성이 발견이 됩니다. 소득이 높은 40대 남성은 삶의 만족도도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소득이 낮으면 삶의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낮다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하지만 소득이 삶의 만족도의 원인이다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이 조사연구는 어디까지나 기술적 연구이기 때문입니다. 그저 이 연구에서는 '소득'과 '삶의 만족도'사이의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적 연구에는 횡단 조사와 종단조사가 있습니다. 이 두 조사의 차이는 시점의 차이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 40대 남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은 횡단 조사입니다. 그런데 이 40대 남성들을 5년간 추적하면서 지속적으로 조사를 한다면 종단조사가 됩니다. 

 

설명적(explanation) 연구

기술적 조사 결과 발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 관심을 갖고,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조사의 목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우리가 앞서 서울시에 거주하는 40대 남성의 소득과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였습니다. 이제 실제로 소득이 높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먼저 가설을 세웁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40대 남성의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다음으로 우리는 실제 조사를 통해 ① 소득이 낮았다가 높아진 40대 남성이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알아냈으며, ② 소득이 높을 경우 다른 변수(가족관계, 건강 등)가 별로 좋지 않더라도 삶의 만족도가 의미 있게 높아진다는 사실 또한 알아냈습니다. 그리고 ③ 항상 소득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고, 낮아지면 삶의 만족도도 낮아지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40대 남성의 경우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라는 가설을 증명하고, 인과관계를 설명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우리는 서울시 거주 40대 남성이 소득이 올라가면 삶의 만족도도 올라가겠구나라는 미래 예측도 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여기서 우리는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데는 3가지 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시간적 선후성'입니다. 소득이 먼저 높아지고 난 다음에야 삶의 만족도가 높아져야 합니다. 그래야 소득이 원인, 삶의 만족도가 결과가 됩니다.

② '외생변수 통제'입니다. 다른 변수였던 가족관계, 건강 등을 통제하고도 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가 높아야 합니다. 만일 소득이 아무리 높았다고 하더라도 가족관계가 낮은 40대 남성의 삶의 만족도가 크게 떨어진다면 이 가설은 힘을 잃게 됩니다.

③ '공변성'입니다. 소득과 삶의 만족도는 공통적으로 변화해야 합니다. 즉, 소득이 높아지면 삶의 만족도도 공통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지금까지 사회복지조사의 연구목적에 따른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우리는 조사연구를 행하는데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전략적으로 어떤 연구를 할지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회복지조사 연구에서 목적에 따른 유형을 이해하는데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댓글